[차이나워치] 시진핑에 '쓴소리'…리커창 퇴임 7개월 만에 사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3월 퇴임한 리커창 전 중국 총리가 오늘(27일) 새벽 갑작스럽게 사망했습니다.<br /><br />한때 시진핑 주석의 최대 라이벌이었던 리 전 총리는 재임기간 절대 권력을 향해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던 인물이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소식 베이징 연결해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임광빈 특파원, 리 전 총리의 사인은 뭔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중국 관영 CCTV는 리커창 전 총리가 갑작스런 심장병으로 상항이에서 숨졌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향년 68세. 지난 3월 퇴임 이후 7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 "전력을 다해 구조했지만 효과가 없었고 10월 27일 00시 10분 상하이에서 사망했습니다."<br /><br />리 전 총리는 시진핑 체제 출범 이후 10년 동안 시 주석에 이어 서열 2인자로 재임하며 민생과 경제를 챙겨왔습니다.<br /><br /> "복잡하고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연간 발전 목표와 임무는 기본적으로 완수했습니다. 우리 경제는 강인한 회복력을 보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때 총서기직을 두고 시 주석과 다툼을 할 정도로 최대 라이벌이었던 리 전 총리는 시 주석 1인 체제가 공고화된 이후에도 민생과 경제 활성화 등을 위해 독자적 목소리를 내 왔습니다.<br /><br />'모든 국민이 편안하고 풍족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'는 의미의 샤오캉 사회 건설을 시 주석이 강조할 때, 리 전 총리는 빈곤과 불평등 문제를 꼬집으며 중국은 물론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.<br /><br />'제로 코로나'를 고수하며 중국의 경제수도 상하이 등이 전면 봉쇄됐을 때는 전국의 공직자들을 상대로 '방역 지상주의가' 경제를 망쳐서는 안된다고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퇴임을 앞두고 남긴 작별 인사를 두고는 무소불위의 절대 권력을 장악한 중국 최고 지도부의 독주를 견제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절대권력에 '쓴소리'를 해 온 리 전 총리의 사망에 대해 중국인들은 어떤 반응인가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리 전 총리의 사망 소식은 이곳 시간으로 오전 8시에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중국 관영매체의 보도가 나간 직후부터 SNS에서는 애도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"갑작스럽다"거나, "믿고 싶지 않다"는 등의 반응입니다.<br /><br />리 전 총리의 사망과 관련한 여론에 중국 당국이 신경을 쓰는 분위기도 감지됩니다.<br /><br />직전 총리였지만 중국 주요 매체들은 사망했다는 짧은 사실을 전할 뿐, 관련 소식을 비중있게 다루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정부 공식 SNS 계정에서는 리 전 총리의 사망 소식 아래 댓글 기능을 차단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조치의 배경에는 부동산발 경제 위기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고 권력을 향한 쓴소리를 마다하지 않고 민생을 챙긴 리 전 총리에 대한 중국인들의 향수가 적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리 전 총리가 퇴임 이후 5달 만의 첫 공개행보에 나섰던 지난 8월에도 중국인들은 그를 반기며 환호했지만, 중국 매체들은 관련 소식을 전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 "총리님 안녕하세요. 총리님 안녕하세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리 전 총리의 사망 소식이 최근 중국 최고 권력층에 대한 숙청이 이어지는 민감한 시기에 전해져 더 주목되는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비위 혐의로 조사를 받아 온 것으로 알려진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이 공식석상에서 자취를 감춘지 두 달 만인 최근 결국 면직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7월 면직된 친강 전 외교부장은 마저 남은 국무위원직까지 박탈되면서 모든 공직에서 퇴출됐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시 주석이 적극 지원해 키운 인민해방군 로켓군 지휘부는 줄줄이 낙마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시 주석이 직접 승진시킨 이들이 줄줄이 부패와 비리와 연루되면서 시 주석의 인선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, 중국의 전·현직 지도자들이 주요 현안을 비공개로 논의하는 베이다이허 회의에서는 시 주석을 향해 나랏일을 걱정하는 원로들의 간언이 이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경제뿐 아니라, 정치·사회 전반에서 문제가 있다는 당시 원로들의 지적에 시 주석은 격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이처럼 뒤숭숭한 시기에 민심을 지지를 받아 온 리 전 총리의 사망 소식이 시 주석의 1인 지배체제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외신들은 "리 전 총리의 사망은 중국 자유주의 경제 개혁 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"고 짚었고, 그를 "시 주석의 충성파 그룹에 속하지 않은 유일한 최고 관료였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베이징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중국 #리커창 #시진핑 #심장병 #쓴소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